주가와 이동평균선의 관계
1. 강세시장에서는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서 파동을 그리며 상승합니다. 강력한 상승추세를 보이는 주가는 5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등락하며, 5일 이동평균선 아래로 하락하지 않습니다.
2. 약세시장에서는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파동을 그리며 하락합니다. 하락추세를 보이는 주가는 5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만 등락을 거듭하며 하락합니다.
3. 보합국면에서 주가가 이동평균선과 밀착되어 있을 때에는 파동을 그리면서 상승이든 하락이든 방향을 결정하여 이탈해 나갑니다.
4.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에는 매수 신호이고, 하향 돌파할 때에는 매도 신호입니다.
5. 주가와 단기 이동평균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돌파할 때에는 중장기 추세가 반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5일 이동평균선이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면 주가는 중기적으로 상승추세로 전환된다고 봅니다. 그리고 20일 이동평균선이 12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면 대세 상승으로 봅니다. 마찬가지로 20일 이동평균선이 12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하면 대세가 장기적인 하락으로 전환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주가의 추세를 확인하고 또 전환 변곡점을 찾아내어 매입 매도의 신호로 활용합니다.
다만, 시장이 강세시장인지 약세시장인지를 먼저 파악한 후 매매 신호를 찾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강세시장에서는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깨고 내려오더라도 오히려 매수 신호가 될 경우가 있고, 약세시장에서는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더라도 오히려 매도 신호가 될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6. 주가는 회귀 속성이 있어 이동평균선에서 멀어지면 다시 돌아오려는 특성이 있습니다.
7. 이동평균선은 지지선과 저항선의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이동평균선을 따라 상승하는 경우에는 이동평균선이 지지선이 됩니다. 그러나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 밑에서 하락하고 있을 때는 이동평균선이 저항선이 되어 주가의 추가 상승을 저지합니다.
출처: https://gilbutbook.tistory.com/1214 [GILBUT Publishers]
'주식의 기초적인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평균선 기초 (0) | 2021.01.08 |
---|---|
이동평균선의 이해 (0) | 2021.01.05 |
캔들의 기초 (0) | 2021.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