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 보험,투신,사모펀드,은행,기타금융, 연기금, 국가지자체, 기타법인, 기타외국인 등등
투자를 할때 단순히 기관수급 동향을 보는 경우가 많은데 기관에도 여러 분류가 있고 이에 따라 수급분석을 달리 하고 매매 적용에 있어서도 전략을 다르게 짜야 한다.
1 투자자 동향의 분류
HTS 에 나타나는 투자자 동향은 거래소에서 집계하고 거래소는 기본적으로 매매에 사용된 계좌의 실제소유주가 누구인지에 따라 거래주체를
구분한다. 예를들어 개인 계좌를 운용하는 투자자문의 매매내역은 게좌의 실제 소유주가 개인이라면 개인투자자로 구분되고 투자자문사의
고유자산으로 매매한다면 금융투자로 분류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람이 해외증권사 계좌를 사용해 매매한다고 하더라도 계좌의 실소유주
명의로 구분하기 때문에 해외증권사를 사용하더라도 계좌의 소유주가 우리나라 사람이면 개인투자자로 구분된다.
2 HTS 상의 기관분류
1.금융투자 (증권사)
<정보가 가장 빠르다. but 가장 빠르게 나갈 수 있다>
은행과 보험을 제외한 모든 금융업무를 영위할 수있는 금융기관을 말한다. 2009년 부터 시행된 자본시장법에 따라 과거 증권사,종금사,
선물회사,자산운용사,신탁회사가 모두 합쳐진 것으로 금융투자 회사는 위의 자본시장법에 규정한 1.투자매매업 2.투자중개업 3.집합투자업
4. 투자일임업 5. 투자자문업 6.신탁업을 영위 할 수있다. 따라서 증권사는 금융투자로 분류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금융 투자는 투자신탁과 다르게 자기 자본으로 매매한다
2. 보험
보험법에 의해서 설립된 보험회사로 변액연금, 변액 유니버설 퇴직연금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패시브적인, 장기투자의 성격이 강하다.
3. 투신(투자신탁)
일반 대중으로 부터 위탁회사가 자금을 모집하고 이렇게 모인 자금을 유가증권, 부동산 등에 투자하여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제도로
투신은 투자신탁으 줄임말로 펀드자금을 말한다
자산운용사들이 고객으로 부터 자금을 받아 펀드를 운용하면 투신으로 나타난다
다만, 소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자금을 모집하는 비공개 펀드인 사모펀드는 사모로 따로 집계된다
4. 사모펀드
고수익 기업투자펀드라고도 한다
투자신탁업법에서는 100인 이하의 투자자, 증권투자회사법에서는 49인 이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모집하는 펀드를 이야기 한다
저평가되 기업에 자본참여를 하게하여 기업가치를 높인다음 기업주식을 되파는 전략을 주로 구사한다.
5. 은행
6. 기타금융
7. 연기금
연금과 기금을 합친말.
연금을 지급하는 원천이 되는 기금.
자금의 성격상 장기투자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거액의 자금을 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증권시장에서 대표적인 기관투자자의 하나로서
시장의 지지세력 역할을 한다
8. 국가 , 지자체
국가로 분류된 매수 주체의 대표적인 구성원은 105조의 자산을 운용하는 우정사업본부(우체국) 이다
이 밖에 예금보험공사, 주택금융공사 등 각종 금융공사, 국제기구 포함한다
9. 기타법인
다른 기관투자자 분류에 포함하지 않는 기관으로서 일반 제조업체 등이 여기에 속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자금운용을 위해 자기명의로 계좌를 개설하여 주식을 매매하거나 자기 주식을 매매하는 경우 투자자별 매매 동향에서
기타법인으로 분류된다
증권계에서는 기타법인을 세력으로 인식할 만큼 최근 투자금액이 매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 <내부정보 가능성 ?>
10. 기타 외국인
외국인 투자자가 우리 증권시장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금융감독원으로 외국인 투자등록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거래관계자는 기타 외국인의 상당수는 국내에 들어와 있는 교포 2,3 세이고 사실상 개인투자자에 가깝다 고 말한다
(검은 머리 외국인)
'주식의 전반적인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부터 주식양도소득 5000만원 넘으면 과세 (0) | 2021.01.07 |
---|---|
주식투자에서 수익내는 2가지 방법 (0) | 2021.01.04 |
기술적 반등과 되돌림 (0) | 2021.01.04 |
주식은 확률싸움이다 (0) | 2021.01.04 |
세력의 이해 (0) | 2021.01.04 |